공대 연구소식

수상 및 연구성과

  • 01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정인호 교수, 美 금속재료학회 'Sadoway Materials Innovation and Advocacy Award' 수상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정인호 교수

    지속가능한 재료 공정에 기여한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MIT) 재료화학공학과 도널드 새도웨이(Donald R. Sadoway) 교수의 공로를 기리는 'Sadoway Materials Innovation and Advocacy Award'는 연구, 교육, 정책적 노력 등을 통해 재료과학 및 공학 분야, 특히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분야에서 혁신적 업적을 거둔 중견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자세히 보기
  • 02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비전 연구팀, 끝없이 영상 생성하는 AI 비디오 생성 기술 개발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비전 연구팀

    기존 영상 생성 모델의 한계를 극복한 FIFO-Diffusion은 디퓨전 모델에 기반한 비디오 생성 기술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기술을 제안한 논문 FIFO-Diffusion은 지난 10월에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분야의 최고 권위 국제학술대회 'NeurIPS 2024'의 발표 논문으로 채택되어 학계와 산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NeurIPS는 인공지능 및 딥러닝 분야의 최신 연구 성과와 혁신적 기술이 발표되는 자리로 매년 엄격한 심사를 통과한 우수한 논문이 발표 논문으로 선정된다.

    자세히 보기
  • 03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 강유 교수팀, 온라인 쇼핑몰 수익 극대화하는 상품 추천 기술 개발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 강유 교수팀

    온라인 쇼핑몰 등의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을 제외되는 품목 없이 골고루 사용자들에게 추천하는 시스템을 '다양화 추천(Diversified Recommendation)'이라 부른다. 이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수익을 극대화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최근 관련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자세히 보기
  • 04 서울대 공대 김성우 교수, 세계공학교육단체협의회(IFEES) 집행위원 선출
    서울대 공대 김성우 교수

    IFEES는 전 세계 공학교육 조직을 대표하는 국제 단체로 공학계에서 국제연합(UN)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계공과대학장협의회(GEDC), 미국공학교육협회(ASEE) 등 다양한 공학교육 조직들이 IFEES에 참여 중이다.

    자세히 보기
  • 05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유경민 학생, 투명 전극 연구로 美 세라믹학회 '알프레드 쿠퍼 장학상' 수상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유경민 학생

    알프레드 쿠퍼 장학상은 유리 및 광학 소재 분야에서 연구 성과가 탁월한 학부생을 격려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수상자에게는 500달러의 상금과 상패가 수여되며, 매년 미국에서 개최되는 재료공학 분야 컨퍼런스인 '미국재료학회(MS&T: Materials Science & Technology)'에서 자신의 연구 성과를 구두 발표할 기회를 얻는다.

    자세히 보기
  • 06 서울대 지능형 자동차 연구팀, IROS 2024 로봇경진대회 우승
    서울대 지능형 자동차 연구팀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와 일본 로봇공학회(RSJ)가 매년 공동 개최하는 IROS는 로보틱스 분야의 세계 양대 학술대회 중 하나로 올해는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에서 열렸다. 학술대회와 함께 열린 로봇경진대회 '어스 로버스 챌린지'는 16일부터 이틀에 걸쳐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부문, 원격 조종 부문 등 두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자세히 보기
  • 07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팀, 초저전력으로 AI 연산 수행하는 뉴로모픽 하드웨어 개발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팀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의 지능형 반도체 소재 및 소자가 지닌 근원적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어레이 수준의 기술화 가능성을 시사한 점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지난 18일 다학제 분야 최고 수준 저널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IF: 38.1)에 발표됐다.

    자세히 보기
  • 08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김용환 교수, 美 조선학회 학술공로상 '데이빗슨 메달' 수상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김용환 교수

    이동체 역학 연구의 선구자였던 고(故) 데이빗슨 교수의 이름을 딴 데이빗슨 메달은 1959년부터 선박 연구 분야의 탁월한 성취를 이룬 학자에게 수여해오고 있는 미국 조선학회의 주요 학술공로상이다. 미국 조선학회는 해군, 해운과 해양산업을 비롯한 6개 분야에서 매년 또는 격년 단위로 메달 수상자를 선정하는데, 이 중 데이빗슨 메달은 2년마다 선박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여도를 인정받은 학자 한 명에게만 수여한다. 특히 이 메달은 선박 연구의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미국 조선학회의 비회원도 수상 후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상자는 전 세계의 선박 공학자 중 가장 돋보이는 업적을 남긴 후보들 중에서 선정된다. 김용환 교수가 수상자로 선정된 올해 데이빗슨 메달 시상식은 지난 15일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에서 열렸다.

    자세히 보기
  • 09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이재상 교수-삼성전자 SAIT 공동 연구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결정적 성능 감소 메커니즘 규명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이재상 교수-삼성전자 SAIT 공동 연구팀

    해당 연구 결과는 10월 10일 세계적 권위의 물리 학술지 '피지컬 리뷰 X'에 게재됐다. 피지컬 리뷰 X는 미국 물리학회의 대표적인 오픈 액세스 저널로서, 물리학 전 분야에 걸쳐 한 해 200편 내외의 핵심 성과만을 출간하고(다학제 물리 분야 논문 인용지수(JCI) 상위 2.2%), 이 과정에서 매우 엄격한 심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국의 연구기관이 해당 저널에 공학 분야의 논문을 게재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성과라는 평가다.

    자세히 보기
  • 10 서울대 공대 항공우주공학과 여재익 교수팀, 절개 수술 없이 뇌질환 안전하게 치료하는 미세 충격파 전자약 개발
    서울대 공대 항공우주공학과 여재익 교수팀

    뇌에 금속 전극을 삽입해 전기적 자극을 주는 침습적 방식으로 이뤄진 기존의 뇌질환 치료법은 높은 출혈 및 감염 위험을 수반했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수술을 거치지 않는 비침습적 치료법이 개발됐지만 이 방법은 치료가 필요한 뇌 속 깊은 부위에 선택적으로 정확한 자극을 전달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자극이 뇌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뇌질환 치료 시, 뇌 신경 재생을 최적화할 수 있는 신호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자세히 보기
  • 11 서울대 공대 항공우주공학과 여재익 교수 연구팀, 美 공군연구소와 협력해 배터리 열폭주 제어 연구 시작
    서울대 공대 항공우주공학과 여재익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항공우주공학과 여재익 교수 연구팀이 미국 공군연구소(Air Force Research Lab, AFRL)의 지정연구실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한국연소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여재익 교수는 미공군연구소와 협력해 초고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제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자세히 보기
  • 12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최준일 교수 공동 연구팀, 카이랄 나노입자를 이용한 새로운 가시광 통신 암호화 기술 개발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한국과학기술원 최준일 교수 공동 연구팀

    망망대해 어둠 속 길잡이가 되어주는 것은 등대가 비추는 한 줄기 빛이다. 이처럼 빛을 이용한 정보 전달은 인류 역사를 가능케 한 중요한 통신 방식이었다. 최근에는 높은 주파수와 직진성을 갖는 가시광에 기반한 차세대 통신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 조명 장치와의 결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기존 통신망에 의한 전자기파 오염 우려가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높은 보안성과 빠른 전송 속도가 강점인 가시광 통신은 국소 통신 체제, 특히 군사 작전 현장의 차량, 드론 및 작전 인원 간 통신 체제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세히 보기
  • 13 서울대 한경원·강지형 교수, MIT 테크놀로지 리뷰 '올해의 젊은 혁신가 Asia Pacific 35인' 선정
    서울대 한경원·강지형 교수

    미국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세계에서 가장 긴 역사를 지닌 기술 매체로 '기술이 인류를 이롭게 한다'는 철학으로 설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매년 다양한 첨단 S&T 및 산업 분야에서 만 35세 이하의 젊은 혁신가 35인을 선정하고 있다. 2014년에는 TR35 Asia Pacific이 설립되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뛰어난 젊은 혁신가를 발굴하고 있다.

    자세히 보기
  • 14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 한국인 최초로 미국재료학회장 당선
    서울대 공대 재료공학부 주영창 교수

    윤석열 정부 초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역임한 주영창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세계 최대 재료학회인 미국재료학회(Materials Research Society) 회장으로 당선됐다. 주 교수는 내년에 이 학회 부회장직을 수행한 뒤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회장직을 맡는다.

    자세히 보기
  • 15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유선규 교수·박남규 교수팀, 대용량 빛 정보의 장거리 전달 플랫폼 구현 성공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유선규 교수·박남규 교수팀

    최근,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활용하는 기존 AI기술이 발열 및 소모 전력 측면에서 큰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전자 소자보다 동작 속도가 수십 배 빠를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모 및 발열도 훨씬 적은 빛 신호를 활용하여 AI 기술을 구현하려는 노력이 NVIDIA, TSMC, 인텔 등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학 AI기술에서 가장 큰 난제는 빛의 흐름이 시스템 상태 변화에 지나치게 민감하여 상용화에 필요한 안정성을 얻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이번 연구 성과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 광학 시스템들과는 달리, 장거리 상호작용을 활용 가능하도록 하드웨어를 구축함으로써, 위상학적으로 보호된 다(多)채널 기반 광대역 신호처리를 가능케 한다. 이를 통해, 빛을 활용하는 초고속-저전력 AI의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갔다고 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
  • 16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연구팀, 3차원 디스플레이 영상 생동감 높이는 시각인지적 요소 규명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연구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연구팀이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의 컴퓨테이셔널 이미징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3차원 디스플레이 시청 경험을 향상시키는 시각인지적 요소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로 3차원 영상을 시청한 사용자들의 평가를 분석한 결과 시차(視差)의 유무가 시청 경험의 생동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자세히 보기
  • 17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팀, 다양한 폼팩터의 소프트 전자소자 제작하는 '선택적 금속 박막 증착 기술' 개발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이병문 교수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고성능 소프트 전자소자 및 회로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프린팅 기반 선택적 금속 박막 증착 기술(printing based selective metal films deposition technique)'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자세히 보기
  • 18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영 교수팀, 구글 픽셀폰 등 안드로이드폰 해킹 위험 높이는 ARM CPU 보안 취약점 발견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영 교수팀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보안 연구실과 삼성 리서치 연구진이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의 성과는 지난 9일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글로벌 사이버 보안 컨퍼런스 '블랙햇(BlackHat) USA 2024'에서 'Bypassing ARM's Memory Tagging Extension with a Side-Channel Attack'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된 바 있다. 본 논문은 앞서 지난 7월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게재됐으며, 컴퓨터 및 프로그래밍 교육 콘텐츠로 정평이 난 해외 유튜브 채널 '로우 레벨 러닝(Low Level Learning)'에서 해당 논문을 다룬 영상이 현재 50만 회 이상의 높은 조회수를 기록하는 등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자세히 보기
'수상 및 연구성과' 이전 호 보기
이벤트 참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