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공대, 2021년도
‘훌륭한 공대교수’에
김선ㆍ이종호 교수 선정
- 학술상 김선 교수, 국내 생물정보학 분야 연구
세계 수준으로 이끌어
- 산학협력상 이종호 교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핵심 소자 기술 등에 기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2021년도 훌륭한 공대교수상 수상자로 컴퓨터공학부 김선 교수(학술상)와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
(산학협력상)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상식은 지난 26일 서울대학교 엔지니어하우스에서 열렸다.
훌륭한 공대교수상은 공과대학 교수들의 연구 활동을 진작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기하기 위하여 1992년 7월 공대 15회 동문들이 출연한 기금으로 공대 학술상과 기술상을 제정하며 시작되었으며 2014년부터는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력상 세 분야로 나눠 지금까지 총 71명의 교수가 수상했다. 교육상은 창의적이고 진취적으로 교육에 헌신한 교수, 학술상은 학술 업적이 탁월한 교수, 산학협력상은 산학 협력 성과가 탁월해 산업 기술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교수에게 수여한다.
올해 학술상을 수상한 컴퓨터공학부 김선 교수는 2011년 8월 컴퓨터공학부에 부임해 생물정보학 및 인공지능 분야 교육과 학술 활동을 통하여 인재 육성 및 학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석사 14명, 박사 및 박사 후 연 구원 13명을 배출했으며 부임 이후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생물정보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학술적, 교육적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다수의 국책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92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현재까지의 연구성과 SCI 논문 Impact Factor 합은 337.218이다. 2021년에는 사단법인 세계언론협회 주최 KOREA AWARDS ‘과학공로大賞'에 선정되는 등 다수의 기관에서 수상하였다. 2017년에는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 소사이어티 학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 관련 학술대회(THE AI KOREA)를 기획ㆍ개최하여 국내를 대표하는 인공지능 분야 학술 행사로 발전시킨 바 있다. GIW 2017, APBC 2020, IEEE BIBM 2020 등 국제 학술대회를 국내 유치하며 국내 생물정보학 분야 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공헌했다. 산학협력상을 수상한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는 2009년 9월 부임해 반도체 분야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며 514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86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지난 10년 동안 반도체 기술 분야 최고 학회에 국내 최다인 20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관련 기업과의 산학 연구로 우수 특허상을 2회 수상하는 등 실용적인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다수의 기술을 이전했다.
이 밖에도 벌크 핀펫(Bulk-FinFET)이라는 3차원 반도체 소자를 발명하고 이 분야 연구를 주도했다. 이 기술이 첨단 시스템 반도체의 핵심 소자 기술이 되는데 큰 기여를 했으며 이는 CPU, AP, GPU 등의 양산에 표준이 되었다. 특히 특허 실시권 허여를 통해 국내 최고의 기술료를 달성했다. 또한, 관련 기업에서 여러 차례 강의를 진행하며 인력 양성에 힘쓰고 반도체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4천 명 이상의 교육생을 배출해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차국헌 학장은 “수상한 두 교수님은 세계 속 한국의 공학 위상을 높이기 위해 연구 및 산학협력 분야에서 창의적 사고와 열의로 묵묵히 땀 흘리신 분들”이라며 “사명감을 가지고 서울공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기여하신 두 교수님은 우리 사회에 지속적인 도전과 한계 극복의 메시지를 전하는 귀감”이라고 인사말을 전했다.
축사와 더불어 “서울대 공대는 교수진과 구성원들의 혁신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코로나19 시대의 뉴노멀과 새로운 4차산업혁명의 전환기를 맞아 국난 극복과 사회적 기여를 위해 사회에서 진정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수월성을 가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훌륭한 공대교수상은 공과대학 교수들의 연구 활동을 진작하고 산업 기술의 선진화를 기하기 위하여 1992년 7월 공대 15회 동문들이 출연한 기금으로 공대 학술상과 기술상을 제정하며 시작되었으며 2014년부터는 교육상, 학술상, 산학협력상 세 분야로 나눠 지금까지 총 71명의 교수가 수상했다. 교육상은 창의적이고 진취적으로 교육에 헌신한 교수, 학술상은 학술 업적이 탁월한 교수, 산학협력상은 산학 협력 성과가 탁월해 산업 기술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교수에게 수여한다.
올해 학술상을 수상한 컴퓨터공학부 김선 교수는 2011년 8월 컴퓨터공학부에 부임해 생물정보학 및 인공지능 분야 교육과 학술 활동을 통하여 인재 육성 및 학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석사 14명, 박사 및 박사 후 연 구원 13명을 배출했으며 부임 이후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생물정보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학술적, 교육적 측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다수의 국책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92편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고 현재까지의 연구성과 SCI 논문 Impact Factor 합은 337.218이다. 2021년에는 사단법인 세계언론협회 주최 KOREA AWARDS ‘과학공로大賞'에 선정되는 등 다수의 기관에서 수상하였다. 2017년에는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 소사이어티 학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국내 최초로 인공지능 관련 학술대회(THE AI KOREA)를 기획ㆍ개최하여 국내를 대표하는 인공지능 분야 학술 행사로 발전시킨 바 있다. GIW 2017, APBC 2020, IEEE BIBM 2020 등 국제 학술대회를 국내 유치하며 국내 생물정보학 분야 연구를 세계 수준으로 향상시키는데 공헌했다. 산학협력상을 수상한 전기정보공학부 이종호 교수는 2009년 9월 부임해 반도체 분야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며 514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86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지난 10년 동안 반도체 기술 분야 최고 학회에 국내 최다인 20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관련 기업과의 산학 연구로 우수 특허상을 2회 수상하는 등 실용적인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다수의 기술을 이전했다.
이 밖에도 벌크 핀펫(Bulk-FinFET)이라는 3차원 반도체 소자를 발명하고 이 분야 연구를 주도했다. 이 기술이 첨단 시스템 반도체의 핵심 소자 기술이 되는데 큰 기여를 했으며 이는 CPU, AP, GPU 등의 양산에 표준이 되었다. 특히 특허 실시권 허여를 통해 국내 최고의 기술료를 달성했다. 또한, 관련 기업에서 여러 차례 강의를 진행하며 인력 양성에 힘쓰고 반도체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하며 4천 명 이상의 교육생을 배출해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차국헌 학장은 “수상한 두 교수님은 세계 속 한국의 공학 위상을 높이기 위해 연구 및 산학협력 분야에서 창의적 사고와 열의로 묵묵히 땀 흘리신 분들”이라며 “사명감을 가지고 서울공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산업 발전에 기여하신 두 교수님은 우리 사회에 지속적인 도전과 한계 극복의 메시지를 전하는 귀감”이라고 인사말을 전했다.
축사와 더불어 “서울대 공대는 교수진과 구성원들의 혁신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코로나19 시대의 뉴노멀과 새로운 4차산업혁명의 전환기를 맞아 국난 극복과 사회적 기여를 위해 사회에서 진정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수월성을 가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서울대 공대, 경기주택도시공사와
도심형 항공 모빌리티ㆍ스마트 시티 협력 MOU 체결
- 7일 협약식, 공동 연구 및 산학연 협력 체계 구축으로 산업 진흥 기여 기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7일 경기주택도시공사(GH)와 ‘산학협력 UAMㆍ스마트시티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UAM(도심형 항공 모빌리티, Urban Air Mobility)이란 도심 항공교통, 즉 기체와 운항, 서비스를 총칭하는 말이다. 스마트시티와 연계하여 대도시권 인구 집중ㆍ지상 교통망 혼잡 해결 수단으로 활약이 기대되는 첨단 기술 항공교통수단이다.
본 협약은 서울대 공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를 중심으로 건설환경공학부의 권영상 교수가 실무협력 역할을 하게 되며, 경기주택도시공사와 함께 UAMㆍ스마트시티 관련 공동연구 및 아이디어 공유, 실증 단지 적용 협조 등 산학연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될 예정이다.
양 기관은 제3차 항공정책 기본계획 및 한국형 도심 항공교통 로드맵에 발맞춰 장기적인 상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학술회 등을 공동 개최하며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
차국헌 학장은 “이번 협약을 통한 UAMㆍ스마트시티 관련 공동연구 및 아이디어 공유, 실증 단지 적용 협조 등 상호 적극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연구 및 교육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더불어 관련 산업의 진흥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본 협약은 서울대 공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를 중심으로 건설환경공학부의 권영상 교수가 실무협력 역할을 하게 되며, 경기주택도시공사와 함께 UAMㆍ스마트시티 관련 공동연구 및 아이디어 공유, 실증 단지 적용 협조 등 산학연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될 예정이다.
양 기관은 제3차 항공정책 기본계획 및 한국형 도심 항공교통 로드맵에 발맞춰 장기적인 상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학술회 등을 공동 개최하며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
차국헌 학장은 “이번 협약을 통한 UAMㆍ스마트시티 관련 공동연구 및 아이디어 공유, 실증 단지 적용 협조 등 상호 적극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통해 연구 및 교육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더불어 관련 산업의 진흥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대 공대, 자랑스러운 공대 동문 4인 선정
- MIT 김상국 교수 외 3인, 산업 기술 발전 공헌으로 모교 명예 높여
- ICT 산업부터 반도체, 미세전자제어기술 이르기까지 다방면 기여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이 MIT 기계공학과 김상국 교수, SK
주식회사 장동현 대표이사와 와이아이케이 주식회사 최명배 회장, 삼성
전자종합기술원 진교영 원장을 ‘자랑스러운 공대동문’으로 선정하고 7일
시상식을 치렀다. 자랑스러운 공대동문상은 산업 기술 발전에 지대한 공헌이나 학문적 성취 등으로 모교의 명예를 높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1993년부터 지금까지 28회에 걸쳐 해외활동부분 29명, 국내활동부문 69명, 총 98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SK주식회사 장동현 대표이사는 1987년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ICT 산업뿐만 아니라 첨단소재, 바이오, 그린, 디지털 등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산업의 육성과 발전에 기여했다.
와이아이케이 주식회사 최명배 회장은 1975년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삼성전자, ㈜엑시콘 등을 거치며 현재 와이아이케이와 엑시콘 그룹의 회장으로서 반도체 장비 업계와 첨단 세라믹 부품, 소재사업 등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진교영 원장은 1985년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 삼성전자에서 D램 개발 및 상품화와 메모리 기술 발전의 주역으로 글로벌 초격차 제품 기술력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하는 등 반도체 기술 및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MIT 기계공학과 김상국 교수는 1978년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대우 전자에서 MEMS 분야 기술 상용화를 주도하고 2001년부터 MIT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미세가공공정 및 설계 분야의 리더로서 MEMS와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기술 및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이번 시상식에는 사정상 불참했다.
차국헌 학장은 “수상자 네 분은 산업계가 직면한 한계를 돌파해 세계 산업과 대한민국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 리더이자 자랑스러운 공대의 동문”이라며 “끊임없는 열정과 노력에 큰 박수와 경의를 표합니다”라고 축하 인사를 전했다. 이날 시상식은 자랑스러운 공대동문상 심사 경과와 수상자에 대한 업적 보고와 상패 및 기념품 수여, 차국헌 학장의 축하 인사, 수상자 3인의 수상소감으로 이어졌다.
SK주식회사 장동현 대표이사는 1987년 산업공학과를 졸업하고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ICT 산업뿐만 아니라 첨단소재, 바이오, 그린, 디지털 등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 산업의 육성과 발전에 기여했다.
와이아이케이 주식회사 최명배 회장은 1975년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삼성전자, ㈜엑시콘 등을 거치며 현재 와이아이케이와 엑시콘 그룹의 회장으로서 반도체 장비 업계와 첨단 세라믹 부품, 소재사업 등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진교영 원장은 1985년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 삼성전자에서 D램 개발 및 상품화와 메모리 기술 발전의 주역으로 글로벌 초격차 제품 기술력 유지에 핵심 역할을 하는 등 반도체 기술 및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MIT 기계공학과 김상국 교수는 1978년 기계설계학과를 졸업하고 대우 전자에서 MEMS 분야 기술 상용화를 주도하고 2001년부터 MIT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미세가공공정 및 설계 분야의 리더로서 MEMS와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기술 및 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이번 시상식에는 사정상 불참했다.
차국헌 학장은 “수상자 네 분은 산업계가 직면한 한계를 돌파해 세계 산업과 대한민국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 리더이자 자랑스러운 공대의 동문”이라며 “끊임없는 열정과 노력에 큰 박수와 경의를 표합니다”라고 축하 인사를 전했다. 이날 시상식은 자랑스러운 공대동문상 심사 경과와 수상자에 대한 업적 보고와 상패 및 기념품 수여, 차국헌 학장의 축하 인사, 수상자 3인의 수상소감으로 이어졌다.
서울대-삼성SDS,
최고가 만나
AI공동연구 나선다
- AI공동연구센터 설립,
인공지능 분야 기술개발에 매진
- 학계와 산업계 시너지 창출 기대,
“세계적 성과 이룰 것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협동과정 인공지능(이하 서울대)과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이하 삼성SDS)가 인공지능 분야 기술개발 공동연구로 학계와 산업계 간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AI공동연구센터를 설립했다.
양 기관은 24일 서울대 공과대학에서 협약식 및 개소식을 진행하고 물적, 인적 자원 교류를 통한 중장기 협업을 약속했다. 협약식은 공동연구센터를 소개, MOU 체결식, 현판식 순으로 진행됐다.
서울대에서는 이신형 기획부학장, 강현구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이혁재 전기정보공학부 학부장, 하순회 컴퓨터공학부 학부장과 공동연구센터장을 맡은 윤성로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공동연구센터 참여 교수인 한보형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참석했다.
삼성SDS에서는 이상욱 연구소장, 민승재 부소장, 이태희 ML센터장, 김태현 기술전략팀장이 자리했다. 공과대학 기획부학장 이신형 교수는 협약식에서 “삼성SDS와 서울대 간 AI공동연구센터 발족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이 될 관련 산업 발전과 인재 양성의 굳건한 토대가 마련되기를 희망합니다.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에서 세계적 역량을 갖춘 삼성SDS와 최고의 인재 양성기관인 서울대학교가 협력하는 만큼, 의미 있고 가시적인 성과들이 지속적으로 창출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라고 인사말을 전했다.
윤성로 공동연구센터장은 이번 센터 설립에 대해 “최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산학 협력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져가고 있다. 이번 삼성 SDS와 서울대 간 AI공동연구센터 발족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이 될 관련 산업 발전과 인재양성의 굳건한 토대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
양 기관은 24일 서울대 공과대학에서 협약식 및 개소식을 진행하고 물적, 인적 자원 교류를 통한 중장기 협업을 약속했다. 협약식은 공동연구센터를 소개, MOU 체결식, 현판식 순으로 진행됐다.
서울대에서는 이신형 기획부학장, 강현구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이혁재 전기정보공학부 학부장, 하순회 컴퓨터공학부 학부장과 공동연구센터장을 맡은 윤성로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공동연구센터 참여 교수인 한보형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참석했다.
삼성SDS에서는 이상욱 연구소장, 민승재 부소장, 이태희 ML센터장, 김태현 기술전략팀장이 자리했다. 공과대학 기획부학장 이신형 교수는 협약식에서 “삼성SDS와 서울대 간 AI공동연구센터 발족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이 될 관련 산업 발전과 인재 양성의 굳건한 토대가 마련되기를 희망합니다.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에서 세계적 역량을 갖춘 삼성SDS와 최고의 인재 양성기관인 서울대학교가 협력하는 만큼, 의미 있고 가시적인 성과들이 지속적으로 창출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라고 인사말을 전했다.
윤성로 공동연구센터장은 이번 센터 설립에 대해 “최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산학 협력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져가고 있다. 이번 삼성 SDS와 서울대 간 AI공동연구센터 발족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이 될 관련 산업 발전과 인재양성의 굳건한 토대가 마련되기를 희망한다. “라고 소감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