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철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
김효철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
국립서울대학교가 설립되며 장차 국가의 필수 산업인 조선산업과 항공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여야 한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뜻에 따라 조선항공학과가 설립되었다. 내가 대학에 입학하였던 1959년 봄에는 조선항공학과 교수들 모두가 서울대학의 전쟁 피해에서 벗어나 교육 정상화가 이루어지도록 시행하고 있던 미네소타 계획으로 MIT에서 연수를 마쳤으며 학과에는 ICA 원조로 최신의 실험 실습 기자재가 도입되어 신설학과였으나 당시로는 첨단학과로 면모를 갖추기 시작하였다. 4.19와 5.16을 거치는 동안 여러 학과에서는 학생들의 정풍운동으로 일부 학과에서는 교수가 학교를 떠나기도 하였으나 조선항공공학과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나는 1966년 조선 전공으로 석사과정을 마치고 조선 분야가 아닌 광산에 취업하여 기계 설계를 담당하였다. 1968년 신입 사원을 모집하려 공과대학을 찾았는데 조교 임용기회가 있는 것을 알게 되어 대학으로 되돌아와 가을 학기에 유급조교로 발령을 받았다.
유급조교에게는 학문적 연구 활동을 통하여 학술지에 2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면 전임강사로 승진할 기회가 주어져 있었다. 일부 과목의 실험실습 조교 임무를 수행하였는데 광탄성 실험실을 담당하며 선체 구조부재의 응력분포 상태를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연구로 실험논문을 작성하였으며 Fourier 해석법으로 구조부재의 응력을 해석하여 논문을 발표하고 1970년 전임강사로 발령을 받을 수 있었다. 전임강사로 임용된 후 교수님들과 연구계획을 협의하여 2차 세계대전 이후 발전하여 선박건조 기술로 자리 잡은 용접공학 분야를 담당하였다. 이때 대한조선공사는 대만에 원양어선 수출한 것을 계기로 선박 시장에 발을 들여놓았으며 만재배수량이 18,000톤인 팬 코리아호를 진수시켜 국제항로에 취역함으로 선박 건조능력을 국제사회에 알리었다. 또 박정희 대통령은 대한조선학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강력한 조선산업 육성정책을 펼치며 대형조선소 건설을 독려하였다.
정부의 시책에 따라 1973년 대한조선공사는 현재의 대우조선해양인 옥포조선소를 착공하였으며 현대그룹은 현대중공업을 설립하였다. 현대중공업의 정주영 회장은 1973년 울산 미포만에 조선소 설립 장소를 마련한 상태에서 선박 수주 활동에 나섰다. 조선소를 건설할 해안가 백사장 사진과 500원 지폐에 그려진 거북선을 보이며 그리스의 선주 리바노스를 설득하여 300,000톤급 초대형 유조선 Atlantic Baron을 수주하였다. 현대적인 선박건조 경험이 일천한 우리나라가 무모하다고 보이는 수주에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동지역의 특수한 사정이 있었다. 1973년 제4차 중동전쟁의 발발로 스에즈 운하가 폐쇄되었을 때는 희망봉을 우회하더라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초대형 유조선의 수요가 폭발하였다. 그리고 사우디는 초대형 유조선이 자유롭게 원유를 적재할 수 있는 쥬베일 산업 항을 해상에 건설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국내에서 10,000톤급 선박을 최초로 건조한 것이 1972년이었는데 현대중공업은 조선소 건설과 선박건조를 동시에 추진하여 1974년에 6월에는 선박의 명명식과 조선소 준공식을 함께 가졌다.
유급조교에게는 학문적 연구 활동을 통하여 학술지에 2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면 전임강사로 승진할 기회가 주어져 있었다. 일부 과목의 실험실습 조교 임무를 수행하였는데 광탄성 실험실을 담당하며 선체 구조부재의 응력분포 상태를 실험적으로 조사하는 연구로 실험논문을 작성하였으며 Fourier 해석법으로 구조부재의 응력을 해석하여 논문을 발표하고 1970년 전임강사로 발령을 받을 수 있었다. 전임강사로 임용된 후 교수님들과 연구계획을 협의하여 2차 세계대전 이후 발전하여 선박건조 기술로 자리 잡은 용접공학 분야를 담당하였다. 이때 대한조선공사는 대만에 원양어선 수출한 것을 계기로 선박 시장에 발을 들여놓았으며 만재배수량이 18,000톤인 팬 코리아호를 진수시켜 국제항로에 취역함으로 선박 건조능력을 국제사회에 알리었다. 또 박정희 대통령은 대한조선학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강력한 조선산업 육성정책을 펼치며 대형조선소 건설을 독려하였다.
정부의 시책에 따라 1973년 대한조선공사는 현재의 대우조선해양인 옥포조선소를 착공하였으며 현대그룹은 현대중공업을 설립하였다. 현대중공업의 정주영 회장은 1973년 울산 미포만에 조선소 설립 장소를 마련한 상태에서 선박 수주 활동에 나섰다. 조선소를 건설할 해안가 백사장 사진과 500원 지폐에 그려진 거북선을 보이며 그리스의 선주 리바노스를 설득하여 300,000톤급 초대형 유조선 Atlantic Baron을 수주하였다. 현대적인 선박건조 경험이 일천한 우리나라가 무모하다고 보이는 수주에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동지역의 특수한 사정이 있었다. 1973년 제4차 중동전쟁의 발발로 스에즈 운하가 폐쇄되었을 때는 희망봉을 우회하더라도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초대형 유조선의 수요가 폭발하였다. 그리고 사우디는 초대형 유조선이 자유롭게 원유를 적재할 수 있는 쥬베일 산업 항을 해상에 건설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국내에서 10,000톤급 선박을 최초로 건조한 것이 1972년이었는데 현대중공업은 조선소 건설과 선박건조를 동시에 추진하여 1974년에 6월에는 선박의 명명식과 조선소 준공식을 함께 가졌다.